본문 바로가기

Psychology

자폐성 장애아동의 내면세계

과거에는 사람들이 거의 들어본 적조차 없었던 장애 증상인 자폐증이 1994년을 기점으로 일간지의 가장 큰 뉴스거리로 장식되는 등 장애계의 현실이 변모하였다. 이 증상은 정부가 나서서 다루고 있는 문제인 동시에 공중 보건의 측면에서도 주요 관심거리가 되었고, 열띤 토론의 주제가 되기도 하였다. 예를 들면 자폐증 진단이 증가한 이유는 어찌됐건 '비전형적' 행동을 보이는 아동에 대하여 의료인들이 지나치게 병리적으로 접근하는 등 과도한 열정이 반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나도 이렇게 생각한다.

 

사실상 사람들은 누구나 정신에 장애가 되는 게 있다고 보는데, 그게 다수의 사람들에게 심각한 해를 끼치거나 결국 장애가 있는 사람이 스스로 병원에 가면 정신병이 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나는 글쓰는 게 빨랐고 회화가 늦은 편인데, 지금도 영어가 작문은 잘 되는데 회화를 못 한다. 그러나 어른이 된 지금은 약간 공부에 방해가 될 뿐이지, 누구도 그걸 '장애'라 칭하진 않는다. 사람들의 이야기에 신경쓰는 건 지는 것이라 생각한다. 따져보면 그들의 오락가락하는 소리에 피해를 입는 건 결국 정신에 장애가 있는 아동 그리고 부모다. 물론 그렇다 해서 정신병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 아니다. 보다 정밀한 검진이 필요하다는 뜻이지.

 

'나에 관해'에서 발췌

 

조디오 알렌, 15세

 

정말 내가 자폐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도 보았고, 지금도 여전히 내가 정말로 정상인지 아니면 다른 장애인처럼 유별나게 보이는지 생각해 보곤 해요. 맙소사! 지금 내가 런던에서 열리는 장애인 올림픽에 나가는 상상을 했어요.

 

(...) 제 취미는 먹고, 마시고, 축구하고, 플레이스테이션(PS2) 게임하고, 피카딜리와 같은 번화가에서 쇼핑을 하는 거예요.

 

 

글에서 나오듯이 다른 아이들처럼 평범하게 게임을 좋아하고 운동도 좋아하니, 자신도 장애인이 아니라 평범한 사람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갖고 있는 아이의 모습이 상당히 명확하게 표출되어 있다.

 

아무래도 가장 오타쿠같은 아이이다보니 책을 읽으면서 더욱 관심을 갖게 되더라. 뒷장에 소원을 적는 게 있는데, 거기서 그는 일본에 가고 싶고 미국에도 가고 싶다고 했다. 그렇지 오타쿠면 성지순례를 하고 싶지 ㅋ 이 책이 나온 시기상 지금쯤이면 어른이 되고도 남았을텐데 첫 번째와 두 번째 꿈은 제대로 이루었을지 궁금하다.

 

내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을 때

 

네이던 캐시 데이비슨, 18세

 

나는 사람들이 아스퍼거를 가진 사람들의 재능을 질투하고 있다고 확신한다. 내 경우를 보자면, 나는 비트박스와 랩을 할 수 있고 그림을 그릴 줄 알고 기타를 연주하는 등 다양한 재능으로 인하여 아주 좋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또 나는 구슬이 굴러가도록 만들어진 완구를 발명할 수 있고, 내가 원하는 대로 조각을 할 수도 있다.

 

 

젠장 솔직히 부럽네 ㅋㅋ

 

둘째, 자폐성 장애아동은 다른 또래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학습을 하는 경향이 있다. (...) 또한 사실, 그림, 기술적 절차, 기재와 같은 학습 자료의 다른 측면에 관심을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관심은 특정 영역(컴퓨터 프로그래밍 혹은 제품 생산기술 영역)에는 도움이 될 수 있어서 아동을 유리한 위치에 세워줄 수도 있지만 학교에서 적용되고 있는 광범위한 교육 과정과는 호환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잘 할 수 있다는 얘기는 새롭게 들어봤다.

 

페친이 그러는데 특정 패턴에 민감해서 그렇다고. 그리고 되새김을 일반인보다 자주 반복하는 편이라 한다. 그래서 수학 언어가 자폐특성을 갖고 있는 아이들에게 접근하기 쉬운 면이 있단다. 컴퓨터 프로그래밍도 수학 모르면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는 자폐증이 있는 아이들 중 모두가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어하는 건 아니라는 사실을 명시한다.

 

최근 어느 초등학교를 방문했을 때 어떤 보조교사는 만화 심슨가족에 특이한 관심을 보이는 자폐성 장애아동과 함께 활동을 하고 있었다. 보조 교사는 학급에서 그 만화를 금지히는 대신 가위로 오려낸 만화 캐릭터에 달린 말풍선에 핵심적인 지시 사항과 확인 사항들을 담아 활용하고 있었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 상황이 아동의 불안을 초래하게 되면 그 보조 교사는 "너를 도와줄 사람이 있으니 걱정할 필요 없어!" 라는 말풍선이 달린 호머 심슨에게 소년이 주목하도록 지도하였다. 이러한 말은 교사가 하는 것보다 좋아하는 만화 캐릭터가 '할 때' 훨씬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거 확실히 좋은 방법인 듯하다 ㅎㅎ 캐릭터의 특성을 파악해서 그 말투를 가능한 한 재현할 수 있다면 더욱 쓸만할 것 같다.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족의 두 얼굴  (0) 2018.10.14
게임 중독과 셧다운제  (0) 2014.07.23
나는 왜 내 편이 아닌가  (0) 2012.10.07
심야치유식당  (0) 2012.07.09
우울증  (0) 2012.07.09